코로나 엔데믹과 함께 우리의 일상은 크게 변화하였다. 언택트(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온라인 쇼핑과 디지털 경험이 더욱 중요시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코로나 제한이 완화되면서, 오프라인으로의 복귀와 오프라인 고객 경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기업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O4O(Online for Offline)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O4O는 기존의 O2O(Online to Offline) 개념을 발전시킨 것으로, 온라인 내 고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프라인 사업과 시너지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O4O의 개념과 시너지 효과
기존의 O2O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소개하는 것에 그쳤다면, O4O는 온라인 내 고객 데이터를 토대로 오프라인 사업도 함께 시너지를 내는 개념이다.
즉, 기업은 고객들의 온라인 행동과 구매 패턴을 분석하여 그들의 취향과 선호도를 파악한 뒤,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서 다양한 혜택과 경험으로 제공함으로써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밑의 사례들을 통해 다양한 기업들이 어떻게 O4O를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1. 컬리의 O4O 마케팅 사례

온라인 슈퍼마켓인 “컬리”는 O4O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편의점 CU와 온·오프라인 플랫폼 공동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상품 공동 개발과 고객 혜택 강화, 매장 픽업, 콜라보 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컬리에서 주문한 식품이나 주류를 편의점에서 받아볼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또한, 컬리는 온라인에서만 접했던 브랜드들을 고객에게 소개할 수 있는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했다. ‘2023 컬리 푸드 페스타’를 DDP에서 개최하여 판매자와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다.
관련 : 2023 컬리 푸드 페스타 – 서울
2. GS25의 O4O 마케팅 사례
편의점 GS25도 O4O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GS25는 넷플릭스의 IP(지적 재산권)를 활용한 PB 상품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넷플릭스 콘텐츠와 페어링하기 좋은 ‘넷플릭스 트러플 팝콘’ 등을 선보였다.
또한, 서울 성수동에는 넷플릭스 팝업 매장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고객들의 반응에 부응해 추가 연장하고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GS25는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3. 무신사의 O4O 마케팅 사례
무신사는 패션 플랫폼으로서 O4O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무신사의 첫 플래그십 스토어인 “무신사 스탠다드”는 무신사만의 자체 브랜드 상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으로, 온라인에서 주문한 제품을 매장에서 찾거나 영업시간 외 매장 밖 라커에서 가져갈 수 있는 픽업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무신사는 또한 희소성 있는 한정판 의류나 신발 등을 판매하는 ‘무신사 솔드아웃(무신사의 자회사인 SLDT가 운영)’과 무신사에 입점한 브랜드를 소개해 주는 팝업 공간 ‘무신사 테라스’도 열고 있으며, 올 하반기에는 오프라인 매장을 영남권으로도 확장할 예정이라고 한다.
4. W컨셉과 발란의 O4O 마케팅 사례
패션 플랫폼 W컨셉과 명품 플랫폼 발란 또한 O4O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W컨셉은 신세계백화점 강남, 경기, 대구 등 3곳에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발란은 여의도 IFC 몰에 입점하여 다양한 O4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발란의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QR코드를 스캔해 온라인으로 결제하고 바로 수령할 수 있는 픽업 서비스를 운영함으로써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 O4O 마케팅
이러한 기업들의 O4O 마케팅 사례들은 코로나 엔데믹으로 인해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잘 반영하고 있다.
언택트 시대에서는 온라인 채널이 주목받았으나, 코로나 제한 완화로 인해 다시금 오프라인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객들과 직접 소통하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브랜드 경험을 강화하고자 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O4O 마케팅의 확산은 온라인의 기능이 줄어든 것이 아닌,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를 융합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결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코로나 엔데믹으로 인해 변화된 소비 행태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O4O 마케팅은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총론적으로, O4O 마케팅은 코로나 엔데믹 이후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여 기업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융합하여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에 주목할 만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들은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온라인에서의 구매 패턴과 선호도를 파악하고,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서 다양한 혜택과 경험으로 제공함으로써 고객들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브랜드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O4O 마케팅의 활용은 기업들에게 성공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구축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